IPython and Jupyter

아이파이썬 노트북은 파이썬 코드를 블록화하고 각 블록의 실행결과를 웹 브라우저에서 볼 수 있게 하는 도구입니다.

일반 웹 서비스와의 차이는 아이파이썬의 경우 브라우저의 기능 외에 별도의 커널이 사용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Matplotlib 라이브러리의 시각화 기능은 아이파이썬 커널을 통해 사용할 수 있지만 아이파이썬이 아닌 보통의 브라우저 화면에서는 사용할 수 없고, 따라서 웹 서비스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로컬 호스트에서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아이파이썬을 확장하고 파이썬 외의 언어 커널도 쓸 수 있게 발전한 것이 주피터입니다. Jupiter가 아닌 Jupyter입니다. 파이썬과 관계된 이름이기 때문에 초기에 주파이터로 불리기도 했는데 파이썬만이 아닌 범용 서비스로 확대되어 가면서 최근에는 주피터라고 부르는 편입니다.

다음에서 파이썬 커널 대신 R 커널을 사용한 주피터 노트북의 예시를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은 로컬 컴퓨터에서 주피터 노트북을 실행하고 R 커널을 선택한 후 막대 플롯을 표시하는 코드를 실행시킨 화면입니다. (타이틀 바에 late2015m32.local이라고 표시된 것은 로컬 컴퓨터가 Late2015M32라는 이름의 iMac인데 따른 로컬 도메인 네임입니다.)

주피터 노트북을 개선해서 모듈화된 프로그래밍에 사용할 수 있게 만든 것이 주피터 랩(Jupyter Lab)입니다.

주피터 노트북 또는 주피터 랩을 설치한 뒤 가장 먼저 할 일은 config 파일을 만드는 일입니다.

$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Unix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파일 또는 폴더는 애플리케이션 이름 앞에 .을 붙여서 만들기 때문에 Jupyter의 설정 폴더는 .jupyter입니다. 위의 명령어로 만든 config 파일이 .jupyter 안에 들어 있습니다.

Python
Scroll to Top